이번 광고 캠페인은 혁신적인 자기 참조적 (self-referential) 브랜드 론칭 캠페인으로써 얀고 애즈 AI 기반 광고 솔루션의 효율성과 가치를 성공적으로 입증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2024년부터 한국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해 온 얀고 애즈는 급증하는 시장의 기대와 변화된 니즈에 부응하고자 2025년 대대적인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나섰다. 특히, 한국 앱 퍼블리셔들이 글로벌로 확장하고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돕는 신규 솔루션인 AI 기반 캠페인(AI-driven Campaigns) 및 앱 수익화(App Monetization) 도구를 중점적으로 알리는 데 집중하고자 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얀고 애즈는 해당 캠페인 자체를 최종적인 '개념 증명(Proof-of-Concept)'의 기회로 삼는 혁신적인 전략을 선택했다. 즉, 얀고 애즈는 이번 캠페인 성과를 통해 자사의 AI 기반 광고 솔루션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인지 한국 시장 관계자들에게 직접 증명하고자 했다.
얀고 애즈 글로벌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최고 책임자인 안드레이 벨로우소프(Andrei Belousov)는, "우리의 목표는 명확했다. 얀고 애즈를 한국 기업들을 위한 기술 지향적인(tech-forward) 파트너로서 확고히 각인시키고, 이렇게 확보된 관심을 신속하게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번 캠페인에서 얀고 애즈와 협력하면 성장할 수 있다고 말로만 주장할 순 없었다. 그보다 고객들에게 얀고 애즈의 솔루션이 크리에이티브, 효율성, 성과 측면에서 실제로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얀고 애즈 자체 브랜드 캠페인을 통해 구체적인 사례로써 입증해야만 했다"라고 밝혔다.
핵심전략: AI와 ‘글로컬(Glocal)' 접근법
얀고 애즈는 자사 솔루션이 지닌 가치를 구체적으로 시연하기 위해 AI 기술의 활용과 글로컬(Global + Local) 접근법을 핵심 축으로 다음과 같이 다각적인 전략을 실행했다.
첫째, AI 기반 프로덕션 시스템의 도입이다. 얀고 애즈는 이미지 생성, 카피라이팅, 현지화 작업 전반에 AI 기반 파이프라인을 채택했다. 이 프로세스는 작업 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동시에, 영문 기반의 크리에이티브 원본을 매끄럽게 고품질의 한국어 버전으로 현지화할 수 있었다.
둘째, 글로벌 확장성(Scale)과 현지 적합성(Local Relevance)'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효율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글로컬' 미디어 믹스 ('Glocal' Media Mix) 전략을 채택했다. 그 결과 글로벌 채널(유튜브, 메타, 링크드인)로 브랜드 서사를 넓게 알리는 동시에, 네이버, 블라인드 등 핵심 로컬 플랫폼을 통해서는 한국 문화와 정서에 맞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기업 의사결정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있었다.
셋째, 결정적으로 AI 기반 도구를 지속적인 최적화에 사용했다는 점이 가장 중요했다. AI 기반 솔루션으로 얀고 애즈에서는 입찰가와 광고 크리에이티브 교체를 실시간으로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가장 효율이 높은 잠재 고객과 게재 위치를 위해 광고 예산을 실시간으로 재분배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정량적 성과: 실적으로 입증된 효율성
위 같은 전략적 접근 방식은 효율성과 참여도(engagement) 측면에서도 인상적이고 측정 가능한 성과를 도출했다.
첫째, 경제적 효율성 극대화이다. AI 기반 최적화는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왔는데, CPC(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는 15% 절감되면서 CTR(click through rate, 클릭률)은 15% 상승시키는 성과를 달성하며 얀고 애즈 플랫폼이 제공하는 재무적 이점을 확실하게 입증했다.
둘째, 현지 미디어 전략은 핵심 잠재 고객에게 도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네이버 캠페인은 목표 인지도를 174% 초과 달성했고 전문직 네트워크인 블라인드에서는 143%의 클릭 성과 지수(click performance index)를 기록하는 등 핵심 B2B 의사 결정권자들의 높은 참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종합적으로 보면, 이번 캠페인을 통해 얀고 애즈는 강력한 시장 입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평가한다. 총 240만 명의 도달(reach)과 1,830만 건의 임프레션을 기록했고 전체 영상 시청 완료율(full video rate)은 최고 95%, 제품 성과 측면에서는 전년 대비 전환율이 2% 향상되는 효과를 달성했다.
얀고 애즈 글로벌 브랜드 책임자인 안나 안토바(Anna Antova)는, “얀고 애즈는 이번 캠페인이 AI가 더 이상 단순 유행어(buzzword)가 아니라 최고의 운영 효율(operational excellence)을 제공하는 핵심 도구임을 입증했다고 믿는다. 동시에 이번에 채택한 '글로컬' 전략은 한국 시장에서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는데, 이는 해외 진출을 모색하는 한국 앱 퍼블리셔들에게 글로벌 확장성과 현지 밀착형 신뢰도(hyper-local credibility)를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AI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또 어떻게 실질적인 경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청사진을 명확히 제공했다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얀고 애즈는 앞으로도 자사의 첨단 애드테크 솔루션을 통해 한국 앱 퍼블리셔들이 손쉽게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고 앱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등록순 최신순 댓글순